Skip Menu

통합적 복지와
상호존중 가치 실현

장애영역별이해

장애영역별 이해

작성자 담당자 작성일 2020.09.15 21:17 조회수 1113

 

장애영역별 이해

 

시각장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105d2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3pixel, 세로 109pixel

 

시각장애란?

시각기능은 시력(visual acuity)과 시야(visual field), 색각(color perception)으로 분류됩니다. 법적으로 국가에서 사회보장이나 특수교육 대상자가 되기 위해서 사용되는 주된 사각기능은 시력과 시야입니다.

시각장애란 일상생활에서 장기간 또는 지속적으로 눈의 기능장애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장애를 가진자를 시각장애인이라고 한다.

 

시각장애

(1) '특수교육진흥법'에서의 정의

나쁜 눈의 시력(만국식 시력표에 의하여 측정한 것을 말하며, 굴절 이상이 있는 자      에 대하여는 교정시 력에 대하여 측정한 것을 말한다.)이 각각 0.02이하인 자

좋은 눈의 시력이 0.2 이하인 자

두 눈의 시야가 각각 주시점에서 10도 이하인 자

두 눈의 시야의 1/2 이상을 상실한 자

 

(2)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두 눈의 교정시력이 각각 0.04 미만인 자

시력의 손상이 심하여 시각에 의하여 학습과제를 수행할 수 없고, 촉각이나 청각

    을 학습의 주요 수단 으로 사용하는 자

두 눈의 교정 시력이 각각 0.04 이상이나 특정의 학습매체 또는 과제의 수정을    

   통해서도 시각적 과제 수행이 어려운자

특정의 광학 기구, 학습매체 또는 설비를 통하여서만 시각적 과제수행을 할 수

    있는 자

 

원인 및 분류

(1) 원인

시각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은 대부분 그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선천적, 후천적으로 밝혀진 원인으로 다음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출생 전 영향 - 유전성, 기타 선천성

감염성 질병 - 풍진, 매독(임신부가 임신 초기에 풍진 또는 매독에 감염되는 경우

   정신지체를 포함한 시각장애, 청각장애 등의 복합적인 장애를 지닌 아동이 태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손상, 중독(과잉산소) - 안구에 이물질 침입, 화학물품에 의한 손상, 사고, 산업재해

   등의 손상과 인큐 베이터에서 지나친 산소 공급을 받았을 때 시각장애를 가져온다.

 

(2) 분류: 시각장애 특성

경험의 부족이 인지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시각적 결함으로 인한 사회적 상호작용의 시작 및 유지에 어려움이 있다.

시각능력의 한계로 인한 자신감 부족과 지나치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있다.

시각장애 학생들의 대부분이 전맹인 것은 아니다. , 일부는 큰 글씨체로 된 문자 어도 읽을 수 있으 며, 시각적인 자료의 수업이 가능하기도 하다.

 

보조기구

(1) 맹 학생 보조기

한소네 보이스 : 점자입력, 파일을 점자나 음성으로 읽는 점자정보단말기

촉각 인쇄기 : 글자파일을 점자로 변환해주는 기기

휴대용 녹음기

한소네(점자정보단말기) : 시각장애인용 점자 입·출력 기기

CD 독서기 : CD를 넣은 후 원하는 속도와 톤을 조절하여 들음

브레일 서울 3.5 : 전맹 시각장애인들의 윈도우즈용 점역 프로그램

촉각 인쇄기 : 촉각으로 그림을 만져볼 수 있도록 하는 제작 도구

점자 프린터 : 텍스트 문서를 점자로 출력하는 기기

센스리더 : 화면 판독 및 음성 합성 변환 프로그램

 

(2) 저시력 학생보조기

확대독서기(센스뷰 포켓) : 휴대용으로 글자를 확대 (4~28)해서 보여줌

확대독서기(센스뷰 데스크탑) : 책을 올려두고 화면을 컬러로 확대 (3~70)해서 보여줌

확대경

24인치 액정 모니터

 

 

청각장애

 

청각장애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1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4pixel, 세로 77pixel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각경로의 어느 부분에 손상으로 인해 소리를 듣는 정도가 정상에서 일탈되는 현상을 말하며, 과 난청으로 구분된다.

 

청각장애

(1)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60데시벨 이상인 자

한 귀의 청력손실이 80데시벨 이상, 다른 귀의 청력손실이 40데시벨 이상인 자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자

 

(2) '특수교육 진흥법'에서의 정의

두 귀의 청력손실이 각각 90데시벨 이상인 자

청력손실이 심하여 보청기를 착용하여도 음성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이 불가 능하거 나 곤란한 자

일상적인 언어생활 과정에서 청각의 기능적 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인과 함께 교육 받기 곤란한 자

 

원인 및 분류

(1) 원인

선천적 청각장애 : 대부분 유전 이상이 원인이고, 그 외 선천성 거대세포 바이러스 (CMV)나 모체풍진 및 조산 등으로 청력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후천적 청각장애 : 중이염, 뇌막염, 메니에르병 등이 원인이 될 수 있고, 시끄러운 소음에 반복적으로 노출되거나 노화로 인해 청력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2) 분류 : 청각손실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특성

(1) 의사소통적 측면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어렵다.

청력손실은 자신의 말소리 뿐 아니라 타인의 말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 에 타인의 메시지를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일상적인 언어생활 과정에서 청각의 기능적 활용이 불가능하여 일반인과 함께 교육 받기 곤란한 자

청각장애 학생들의 국어, 특히 말하기 능력은 같은 또래의 건청아동에 비해 지연되 어 있다.

대체로 말을 할 때 특정 음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음소로 대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난청인은 어느 정도 잔존청력이 있기 때문에 보조기구와 함께 구화를 통한 의사소 통이 가능하나, 구어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농의 경우 구어를 대체할 수 있는 수화 나 글과 같은 의사소통을 사용한다.

 

(2) 심리·사회적 측면

청각장애인의 사회·정서적 발달은 건청인들과 유사하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친구관 계의 친밀성에 있어 서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므로 친구관계를 형성하게 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청각장애인은 사회성이 결여되거나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경험할 수 있으나 이것은 환경의 제약에 따른 것으로 가정이나 학교의 교육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조기구

(1) 보청기

청각장애인들이 자신의 잔존 청력을 활용하여 최대한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외부 소리를 증폭시켜주는 청각보조 장치

고막형 : 외이도 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초소형으로 보청기 착용여부가 눈에 잘 띄 지 않으며, 경도나 중등도 난청에 적합

귓속형 : 귀속에 알맞게 삽입되는 보청기로 경도 및 중등도 난청에 적합

귀걸이형 : 귀꽂이를 달아 귓바퀴에 거는 유형으로 고, 심도 난청에 적합

 

(2) 인공와우

보청기로 재활이 불가능할 경우 수술을 통해 내이의 와우(달팽이관) 속에 전극을 이식하는 청각보조 장치

 

(3) 기타

캡션기 : 텔레비전의 방송내용을 자막으로 시청할 수 있는 장치

에어포스트 : 휴대용 문자전송 시스템

 

 

 

 

 

 

지체장애

 

지체장애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1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6pixel, 세로 81pixel 지체장애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환으로 신경, 근육, , 다리, 척추들에 이상으로 오는 장애를 말하며, 정형외과적 장애와 신경학적 장애로 나눌 수 있다.

 

지체장애

(1) '장애인복지법'에서의 정의

한 팔, 한 다리 또는 몸통의 기능에 영속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지골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또는 한 손의 둘째손가 락을 포함한 2개 이상의 손가락을 모두 제1 지골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한 다리를 리스프랑(Lisfrang)관절 이상의 부위에서 잃은 사람

두 발의 모든 발가락을 잃은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기능을 잃은 사람 또는 한 손의 둘째손가락을 포함 한 2개 이상의 손가락을 기능을 잃은 사람

두 귀에 들리는 보통 말소리의 명료도가 50퍼센트 이하인 자

지체에 위 각목의 1에 해당하는 장애정도 이상의 장애가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

 

(2) '특수교육 진흥법'에서의 정의

지체의 기능, 형태상 장애를 지니고 있고, 체간의 지지 또는 손발의 운동·동작 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하여 일반적인 교육시설을 이용하여 학습이 곤란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원인 및 분류

(1) 원인 : 지체장애의 원인은 크게 선천적인 것과 후천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적 지체장애 : 신체적 기능을 통제하는 신경학적 운동장애로 신생아기 또는 유 아기에 신체의 여러 기능에서 이상을 나타난다.

후천적 지체장애 :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환으로 신경, 근육, , 다리, 척추의 기능에 서 이상을 나타낸다.

 

(2) 분류 : 청각손실 정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특성

(1) 뇌성마비

 

뇌성마비는 뇌의 병변이나 뇌 성장의 비정상으로 인해 초래되는 영구적인 상상태이다.

뇌성마비인는 마비, 극도의 허약, 조정장애, 불수의적인 경련, 그리고 다른 운동장애 를 포함하는 수의 운동 기능에서 어려움을 나타낸다.

뇌성마비의 원인은 다양한데, 저체중 신생아에게 산소부족을 초래하는 출생전, 출생 기 또는 출생후의 손상, 사고, 질병에 의해 초래된다.

뇌성마비는 매우 다양한 개인차를 가지며, 운동 기능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2) 척수장애

척수장애는 관통상(권총부상), 척추의 확장(자동차 사고로 인한 목뼈 골절), 척추 손 상이나 척수의 압박(다이빙 사고)등 불의의 사고로 인해 척수 신경에 손상을 입어 손상부위 이하의 운동 및 감각에 마비를 보이는 장애이다.

척수손상을 입은 학생들은 휠체어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사지마비 아동은 일반적으로 호흡을 주관하는 흉부 근육의 영향으로 심각한 호흡곤 란을 보일 수도 있다.

대부분 척추신경 손상 아동은 방광과 내장 조절이 어려우므로 개인위생을 유지하고 감염과 피부염증을 막을 수 있는 주의 깊은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3) 소아마비

성질이 다른 두 가지 병의 총칭으로 쓰이는데, 하나는 척수성 소아마비(폴리오)이고, 다른 하나는 뇌성소아마비이다.

척수성 소아마비는 전염병으로서, 척수신경이 폴리오바이러스에 침범되어 수족의 마비가 일어난다.

뇌성 소아마비는 출산 전후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뇌신경이 침범되어 일어나 는 것으로 전염성은 전혀 없다.

척수성 소아마비의 경우는 움직이지 않는 손발을 다른 사람이 굽히고 펴면 힘이 빠 진 것 같이 흐늘흐늘 움직이는 이완성 마비이지만, 뇌성 소아마비는 손발의 근육이 뻣뻣해지는 경직성 마비를 일으킨다.

양 발 모두 마비가 될 경우 휠체어나 목발을 사용하며, 한쪽 발만 손상이 있을 경 우 보조기를 이용하여 자력 보행을 할 수도 있다.

소아마비는 감각에 이상이 없으므로 배변의 문제는 없다.

 

보조기구

(1) 학습지원용 기자재

책장 넘기기 도구 : 손가락으로 책장을 넘기기 불편한 자체장애인을 위한 보조도구 로, 도구를 손가락, 손바닥 또는 팔이나 발에 끼워 "끈적이 패드"를 책에 붙여 책장 을 넘길 수 있음

책장 넘기는 막대 : 손으로 책장을 넘기기 불편한 지체장애인을 위한 보조도구로, 막대의 한쪽 끝을 입으로 물고 흡착판이 붙어있는 부분으로 책장을 넘길 수 있음

필기도구 : 필기가 불편한 학생들을 위한 필기도구로, 손바닥 지지형으로 손바닥에 끼워 필기구를 조정할 수 있음

클리어뷰 헤어포인터 : 사지 마비가 있는 장애인을 위한 컴퓨터 입력도구로, 모리에 착용하여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

수동높낮이 조절 책상/ 자동높낮이 조절 책상 :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장애인을 위한 테이블

 

(2) 보장구용 기자재

목발 : 일어서고 걷는 동작을 보조하는 도구로 보행이 불편한 지체장애인들이 사용 하며, 겨드랑이에 목발을 끼고 손잡이를 지지해서 걸을 수 있음

 

자폐성장애

 

눈 맞춤, 지시 따르기 등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발달을 보이며 제한된 활동과 관심영역, 상동행동(반복적인 행동)의 특성을 보이는 장애이다.

 

(1) 언어적 특성

대부분 자폐성 장애학생은 언어에 있어서 상대방의 질문을 그대로 따라하는 반향어를 보인다.

 

(2) 행동적 특성

경우에 따라 자해 행동이나 공격행동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의사소통 수단을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